영문법 기초 - 정의만 알아도 문법 끝!!/기본은 서술어. 꼬리자르기 마스터 동사 28

수동태 (Passive Voice)

1. 수동태란?수동태는 어떤 일이 일어났을 때, 그 행동을 '받는 대상'이 문장의 주어로 나오는 표현입니다.즉, '누가 ~하다'보다 '무엇이 ~되다 / 당하다'에 초점을 둔 문장 구조입니다.예를 들어:능동태: My mom made this cake.→ 우리 엄마가 이 케이크를 만들었다.수동태: This cake was made by my mom.→ 이 케이크는 우리 엄마에 의해 만들어졌다. 2. 수동태의 기본 구조주어 + be동사 + 과거분사(pp) (+ by + 행위자) 구성 요소설명예시 주어 행동을 받는 대상 The cake be동사 주어와 시제에 맞게 변화 is, are, was, were 등 ..

과거완료(Past Perfect)의 쓰임

1. 언제 써요? 과거완료는 과거보다 더 이전에 일어난 일을 말할 때 써요.보통 두 개의 과거 사건 중 먼저 일어난 일에 씁니다.먼저 끝난 일I had finished my homework before dinner.She had gone out when I called.They had cleaned the room before guests arrived.과거의 이유 설명I was tired because I had not slept well.She was upset because he had forgotten her birthday.We were late because the bus had left early.이전 경험He had never seen snow before 2019.I had tried s..

현재완료(Present Perfect)의 쓰임

1. 현재완료는 언제 써요? 현재완료는 과거와 지금이 연결되는 상황에서 써요.지금까지 해본 경험, 지금 결과에 영향을 주는 일, 과거부터 지금까지 계속된 일에 씁니다.경험 (Experience)지금까지 살아오며 해본 적 있는 일언제 했는지는 중요하지 않음예문Have you ever been to Jeju?I have eaten sushi before.She has never seen snow. 완료/결과 (Result)어떤 일이 막 끝났거나, 지금 상태에 영향이 있을 때예문I have just finished my homework.We have lost the key.He has gone home. 계속 (Continuation)과거에 시작된 일이 지금까지 계속될 때예문I have lived here f..

완료(perfect)의 개념 - 완료란 무엇인가?

두 시점(과거 + 현재)이 동시에 보이는 시제 1. 일반 과거는 한 시점만 본다과거 시제는 오직 그때 일어난 일만 말해요.→ “언제” 일어났는지가 중요해요.예)I lost my key yesterday.(어제 잃어버림. 끝. 지금은 관심 없음) 2. 현재완료는 두 시점을 함께 본다현재완료는 ‘과거에 일어난 일’과 ‘지금’ 이 두 시점을 한 문장에서 함께 보는 시제예요.이게 바로 ‘완료’의 진짜 뜻이에요.→ 과거에 어떤 일이 있었고,→ 그 결과나 영향이 지금까지 남아 있어요.이걸 한 문장 안에서 동시에 보여주는 시제가바로 현재완료예요. 3. 그래서 ‘have’가 필요한 이유‘have’는 지금의 상태를 뜻해요.have + p.p.는“과거의 사건(p.p.)을 지금도 갖고 있다”는 뜻이에요.예)I have lo..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to-Infinitive as an Adverb)

1. 해석to부정사가 문장에서 왜? 무엇 때문에? 어떻게? 같은 질문에 답할 때**‘~하기 위해’, ‘~해서’, ‘~할 만큼’**처럼 해석돼요.(예: 공부하기 위해, 만나서, 걸을 수 없을 만큼) 2. 형태to + 동사원형문장에서 동사나 형용사 뒤에 주로 나와요.목적을 강조하고 싶을 땐 in order to + 동사원형 도 쓸 수 있어요. 3. 이렇게 생각하면 쉬워요!to부정사 = 이유나 목적을 설명하는 말예를 들어,“왜 문을 열었어?”→ “바람 쐬려고!”이럴 때 “바람 쐬려고”에 해당하는 영어 표현이 바로to get some fresh air예요. to부정사의 부사적용법 연습She studies hard to pass the test.(시험을 통과하기 위해 열심히 공부한다)He got up early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to-infinitive as an Adjective)

1. 해석to부정사가 형용사로 쓰이면‘~할’, ‘~해야 할’, ‘~하는’ 처럼앞에 있는 명사를 설명해주는 말이 됩니다.예)a book to read → 읽을 책someone to help me → 나를 도와줄 사람 2. 형태[명사] + [to + 동사원형]to + 동사원형이 명사 바로 뒤에 붙어서그 명사가 무엇인지, 어떤 것인지 알려줍니다.예)I have a test to take.(나는 봐야 할 시험이 있다) 3. 개념 요약to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은명사를 꾸며주는 역할을 합니다.→ 어떤 사람, 사물, 장소, 시간에 대한 설명이 필요할 때 사용합니다.이 용법은 형용사처럼 쓰이기 때문에,주로 명사 뒤에 위치합니다. 4. 기본 예문 (해석 포함)I need a pen to write with.(글을 쓸 펜..

to부정사의 명사적용법(To-Infinitive as a Noun)

1. 해석to부정사가 문장에서 명사처럼 쓰일 때,보통 의미는 ‘~하는 것’, ‘~하기’로 해석됩니다.→ 주어, 목적어, 보어 역할을 합니다.즉, 명사자리에 놓일 수 있다는거에요. 2. 형태to + 동사원형문장에서 다음 3가지 자리에 들어갑니다:주어 자리목적어 자리보어 자리 3. 개념 요약to부정사의 명사적 용법은문장에서 명사의 역할을 합니다.→ 무엇을 하는지, 무엇을 원하거나 목표로 하는지 등을 말할 때 사용합니다.용법별 예문1) 주어로 쓰일 때 (To-Infinitive as Subject)To listen carefully helps you understand better.주의 깊게 듣는 것은 더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To speak kindly makes people feel happy.친..

to부정사 (to-infinitive) – 정의와 형태

to부정사 (to-infinitive) 는 동사의 한 형태로, 기본적으로 to + 동사원형으로 이루어져 있어요.이름 그대로 ‘to’가 붙은 ‘동사’라는 뜻이에요. 모양항상 to + 동사원형 형태예요.예: to eat, to go, to study, to be틀린 예:to eats (X)to went (X)to playing (X)to부정사의 핵심 특징동사는 맞지만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같은 문장구조가 되기도 하고,형용사, 부사처럼 다른 품사의 역할을 해요.시제나 인칭에 따라 형태가 바뀌지 않아요.언제나 똑같이 to + 동사원형을 사용합니다.핵심 정리해 보면:형태: to + 동사원형뜻: ~하는 것, ~하기 위해 (문맥에 따라 다름)동사지만, 실제 문장에선 명사, 형용사, 부사처럼 작동합니다.to부정..

동명사(Gerund)의 쓰임과 관용표현

동명사는 ‘동사가 명사가 된 것’이에요.동사에 -ing를 붙여서 ‘~하는 것’이라는 뜻이 되며,문장에서 명사처럼 쓰여요.즉,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 뒤에 들어갈 수 있어요.동명사의 쓰임주어로 쓰기Swimming is fun.(수영하는 것은 재미있다.)목적어로 쓰기I enjoy reading.(나는 책 읽는 걸 즐긴다.)보어로 쓰기My hobby is drawing.(내 취미는 그림 그리기야.)전치사 뒤에 쓰기He is good at singing.(그는 노래를 잘한다.)동명사 관용표현 정리관용표현은 암기해놓는게 좋아요. It’s no use ~ing의미: ~해도 소용없어예문: It’s no use crying.Be busy ~ing의미: ~하느라 바쁘다예문: She is busy cleaning ..

동명사 (Gerund) – 정의와 형태

동명사는 ‘동사가 명사가 된 것’이에요.즉, 동사에 -ing를 붙여서 '행동 자체'를 하나의 이름처럼 만든 말이에요.우리가 평소에 쓰는 동사들은 어떤 '행동'을 나타내죠.그런데 그 행동을 하나의 '것', 즉 명사처럼 바꿔서 말하고 싶을 때바로 동명사를 써요.이때 -ing가 그 역할을 해 줘요.동사 + ing = ~하는 것, ~하기→ 이게 바로 동명사예요.예를 들어play → playing놀다 → 놀기read → reading읽다 → 읽기swim → swimming수영하다 → 수영하기draw → drawing그리다 → 그림 그리기이렇게 바뀌면 ‘노는 것’, ‘읽는 것’, ‘그림 그리기’ 같은 말이 돼요.이건 더 이상 동사가 아니라, '행동의 이름' = 명사예요.그래서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처럼명사가..